전공안내
기계공학은 방대한 공학 분야 중에서도 핵심에 해당하며, 현재 각종 산업에서 널리 활용될 뿐 아니라 미래의 신성장동력 확보와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도 지속적으로 대응하는 미래지향적인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기계공학은 전통적인 기계 산업은 물론, 조선·중공업·자동차·항공 분야 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 IT 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는 이러한 기계공학의 폭넓은 특성을 반영하여 기초 학문에서부터 심화 응용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30여 명의 전임교수진은 대한기계학회, 한국정밀공학회, 대한자동차공학회, 한국금형공학회 등 기계 분야의 대표 학회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국가기관의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기업 및 기계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과 함께 연구개발 및 기술자문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복합재료학회를 포함한 다양한 학술행사를 주최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교수진의 활발한 대외 활동은 재학생들이 학술대회와 연구과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전공지식의 실제 활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과정은 고체, 생산, 열, 유체 등 기계공학의 기본 학문을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 지식정보공학, 전자공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과 융합된 새로운 학문 분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나노-마이크로 시스템, 기계-전자 시스템, 바이오 진단 기술 등 첨단 분야로 교육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아울러, 산학협의체를 통해 산업계의 요구를 교과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재학생들은 나노-IT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첨단 교육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특히 첨단 기계공학 기반의 다양한 진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과는 다음과 같은 심화 전공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첨단소재 및 생산(Advanced Materials & Manufacturing): 나노소재, 복합재료 등 차세대 소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3D 프린팅, 초정밀 가공, 스마트 팩토리 등 정밀·고효율 제조 공정을 다루는 분야.
설계 및 해석(Design & Analysis): 기계, 구조물, 제품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이론적 모델링, 수치해석(FEM/CFD) 등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설계 및 검증을 수행하는 분야.
지능형 로봇 및 제어 시스템(Intelligent Robotics & Control Systems): 센서, 기계학습, 제어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을 연구하는 분야.
AI 데이터(AI & Data Engineering):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기반의 분석·예측·최적화를 수행하고, IoT 데이터와 결합하여 스마트 제조, 예지정비, 지능형 의사결정 등에 응용하는 분야.
열유체 및 에너지(Thermal-Fluid & Energy Systems): 열역학과 유체역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엔진, 열교환기, 발전기 등 에너지 변환 및 전력 생산 시스템과 함께 태양열·풍력·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분야.
이와 같은 체계적인 교육을 바탕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생들은 매년 70% 이상의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공기업·대기업·중견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호주 국립대학인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와의 복수학위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화된 교육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공학과는 교수진의 연구 성과와 교육적 노력을 바탕으로, 설계에 중점을 둔 고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체계적인 기계공학 과정을 운영하며, 공학설계 중심의 교육을 통해 산업계와 학계에서 경쟁력 있는 기계공학인을 배출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중공업, 건설 및 플랜트 엔지니어링, 그린에너지, 기계 제조, 차세대 자동차 및 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